유성준 (186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준은 1860년에 태어난 인물로, 갑오경장에 참여한 개화 관료 유길준의 동생이다. 그는 일본 유학 후 갑오경장에 참여했으나, 아관파천으로 일본으로 망명했다. 이후 기독교에 입문하여 신앙 활동을 했으며, 친일 관료로 활동하면서 교육 계몽 운동에 관심을 가졌다. 2002년과 2008년, 2009년에 발표된 친일 관련 명단에 그의 이름이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 - 노백린
노백린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무총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추진하고, 한인 비행사 양성 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 공군력 강화에 기여했다. -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 - 윤필오
윤필오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교육계 기여와 국채보상운동 참여 후 일진회 가입, 조선총독부 군수, 한국병합기념장 수여 등 친일 행적을 보였으며, 3·1 운동 이후에는 자제단 조직과 국민협회 활동을 통해 '신일본주의'를 주창하여 2007년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유길준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유길준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온건개화파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온건개화파 - 이상재
이상재는 조선 말기 개화파 관료이자 일제강점기 교육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독립협회, YMCA, 조선일보, 신간회 등에서 활동하며 민족운동을 이끌고 청년 교육과 계몽에 헌신한 월남 이색의 후손이다.
유성준 (1860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성준(俞星濬) |
출생 | 1860년 |
사망 | 1933년 |
본관 | 기계(杞溪) |
자 | 경화(景華) |
호 | 해동(海東)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유치상(兪致祥) |
배우자 | 정부인(貞夫人) 청주 한씨(淸州韓氏) |
아들 | 5남 |
딸 | 3녀 |
관력 | |
주요 경력 | 탁지부 재무관 사헌부 감찰 궁내부 주사 중추원 참의 |
2. 생애
2. 1. 초기 생애와 개화 운동
유성준은 갑오경장에 참여한 개화 관료 유길준의 친동생이다. 그는 유길준의 부탁을 받은 김옥균의 후원으로 잠시 일본 유학을 다녀온 경험이 있다. 유길준은 그의 유학 기간 중 갑신정변을 시도했다가 실패했다.이후 귀국하여 유길준과 함께 갑오경장에 참가했다. 유성준은 농상공부 회계국장을 맡았다가 아관파천으로 친일 개화파가 실각하자 유길준과 더불어 일본으로 망명했다. 일본에 머무는 동안 메이지 법률학교에서 수학하면서 그동안 익힌 재무 및 조세 분야 뿐 아니라 법학 분야에서도 전문적인 지식을 쌓게 되었다.
2. 2. 기독교 입문과 신앙 활동
아관파천으로 득세한 친러파가 몰락하면서 유성준은 갑오경장 관련자들 가운데서는 비교적 이른 1902년에 귀국했다. 그러나 귀국 직후 유길준이 일심회 사건에 연루되면서 유성준도 체포, 구금되었다. 유성준은 감방 안에서 이상재, 이원긍, 이준, 신흥우, 이승만 등의 개화파 청년들을 만나 성서를 읽게 되었다.이들은 독립협회 사건 등으로 비슷한 시기에 구금되어 온 인물들이었고, 한성감옥 안에서 많은 독서를 하면서 감옥 학교를 열어 학습하다가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유성준도 이때 기독교에 깊이 감화를 받았고 이어지는 황해도 유배 기간 중 황주교회에서 입교하였다.
2. 3. 관료 생활과 사회 활동
1905년 풀려난 그는 일본의 세력이 커지는 가운데 일본통 관료로서 계속 승진 가도를 달렸다. 군수 벼슬을 시작으로 내부의 관직에 올랐으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로는 충청북도와 경기도 참여관, 충청남도와 강원도 지사(1927) 등으로 총독부의 고위 관료를 역임했다. 1921년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에 임명되기도 했다.그는 일제에 협력하는 관료로 일하는 가운데서도 기독교 기반의 교육 계몽 운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유배에서 돌아오자마자 한성부의 연동교회에서 세례를 받았고, 이후 박승봉 등 비슷한 신분의 기독교인들과 함께 '양반 교회'로 유명한 안동교회를 설립했다. 1921년 기독교 계열 출판사로 한글 서적을 발행하는 광문사를 세웠다.
대한교육협회를 창설하는 등 교육 사업에 대한 관심으로 박승봉과 함께 기호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을 지냈으며, 보성전문학교 교장도 역임했다. 국산품 애용 운동 조직인 조선물산장려회 설립에 참가하여 이사장에 올랐고, 사립 대학 설립을 위한 조선민립대학기성회에 참여하였다. 조선기독교청년회전국연합회(YMCA)에서 활동하며 흥업구락부를 결성하는데도 참가했다. 유성준은 박승봉과 함께 친일파로 분류되는 관료 가운데 개량적 민족주의 운동에 꾸준히 관심을 보인 대표적인 인물이다.
3. 친일 논란과 평가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조카인 유만겸과 함께 선정되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명단에는 그의 딸 유각경과, 유만겸의 동생인 유억겸도 포함되어 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4. 가족 관계
- 양 증조부 : 유돈환(兪敦煥)
- 생 증조부 : 유인환(兪仁煥)
- 할아버지 : 유치홍(兪致弘, 1800년 - ?)
- 숙부 : 유진태, 멕시코로 이민[3]
- 사촌 : 유필준(兪弼濬, 멕시코 이름은 페드로 유)
- 사촌 제수 : 조선 여자
- 당조카 : 윌리엄 유(1921년 - )
- 당질부 : 사라 공(1922년 - ), 한국계 이주민의 후손
- 재종손 : 가브리엘 유(1950년 - )
- 사촌 제수 : 멕시코 여자, 유필준의 후처
- 당조카 : 엔리케 유(1924년 - ), 한국명 유영근
- 당질부 :마리아 앨레나(1928년 - ), 멕시코인
- 재종손녀 : 노라 유(1954년 - ), 멕시코의 상원 의원
- 당조카 : 유영윤(1933년 - ), 다시 한국 서울로 이주
- 아버지 : 유진수(兪鎭壽, 1825년 - 1898년)
- 어머니 : 한산이씨(韓山李氏, 1824년 - 1900년)
- 형님 : 유회준(兪會濬, 1847년), 호는 창랑(滄浪)
- 조카 : 유옥겸(兪鈺兼, 1883년 ~ 1922년)
- 형님 : 유길준(兪吉濬, 1856년 ~ 1914년)
- 형수 : 경주김씨(慶州金氏, ? - 1874년)
- 형수 : 충주이씨(忠州李氏, ? - ?)
- 조카 : 유만겸(兪萬兼, 1889년 7월 13일 ~ 1944년 12월 13일)
- 질부 : 이름 미상, 함경북도의 중인 출신 며느리, 유만겸의 본처
- 질부 : 파평윤씨
- 종손 : 유병덕(兪炳德, 1932년 - 2000년 6월 20일), 감사원 제1국장[4], 제4국장, 감사원 심의실장 역임[5]
- 조카 : 유억겸(兪億兼, 1896년 10월 23일 ~ 1947년 11월 8일)
- 질부 : 해평윤씨
- 부인 : 이름모름
- 장녀 : 유각경(兪珏卿, 1892년 ~ 1966년 9월 7일)
- 외할아버지 : 이경직(李敬稙)
참조
[1]
문서
일설에는 1859년생 설도 있다.
[2]
웹인용
유성준(兪星濬)
https://encykorea.ak[...]
2023-09-12
[3]
뉴스
상투 자른 외교관 유길준, 고교 입학 석 달 만에 영어회화
http://sunday.joins.[...]
중앙선데이
[4]
뉴스
갑오경장 세 주역의 문집 발굴
동아일보
1970-07-21
[5]
뉴스
감사원 인사
동아일보
1967-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